728x90
Contents
1. 소개
오늘은 유통기한과 소비기한에 대해 빠르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준비되셨나요? 시작하겠습니다 :)
1) 식품 날짜표시 종류
구분 | 특징 | 대상 |
제조일자 | 장기간 보관해도 변질 우려가 낮은 식품 | 설탕, 소금, 소주, 빙과 등 |
유통기한 | 소비자에게 유통 및 판매 허용 기간 | 대다수의 식품[ ~ 2022년] |
품질유지기한 | 고유의 품질이 유지되는 기간 | 당류, 장류, 절임류 등 |
소비기한 | 소비해도 안전상에 문제가 없는 기간 | 대다수의 식품[2023년 ~ ]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식품 날짜표시의 종류는 총 4가지 '제조일자, 유통기한, 품질유지기한, 소비기한'으로 구분됩니다.
2) 설정기준[소비기한 / 유통기한 ]
구분 | 특징 |
품질안전한계기간 | 품질변이가 일어날 수 있는 시점까지의 기간 |
유통기한 | 품질안전한계기간의 60 ~ 70% 설정 |
소비기한 | 품질안전한계기간의 80 ~ 90% 설정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3) 주요국 날짜표시 운영현황
구분 | 유통기한 | 소비기한 |
한국 | 0 | X ▶ 0[2023년 도입] |
미국 | 0 | 0 |
영국 | X | 0 |
일본 | X | 0 |
호주 | X | 0 |
중국 | X | 0 |
유럽 | X | 0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소비자원 |
4) 식품 유형별 소비기한
대표 식품 | 유통기한 | 소비기한 |
우유 | 10일 | 60일 |
요거트 | 14일 | 24일 |
달걀 | 20일 | 45일 |
식빵 | 3일 | 23일 |
라면[봉지] | 180일 | 430일 |
두부 | 14일 | 104일 |
고추장 | 1 ~ 3년 | 3 ~ 5년 |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한국소비자원 |
[첨부파일]
식품 유형별 소비기한 설정보고서(영업자안내서)_요약본.pdf
1.56MB
본 포스팅은 제3자로부터 간접 광고, 금전 후원, 보증 광고와 같은 유료 프로모션을 제공 받지 않았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