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문지식40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자율 신경 계통 Contents 1. 자율 신경 계통 자율 신경 계통은 주로 내장, 혈관, 분비샘 등이 운동과 기능을 조절한다. 보통 의식하지 않고 자동으로 조절되기에 장류 신경이라고 부른다. 근원이 되는 중추는 뇌와 척수에 있다. 그렇다면, 자율 신경 계통은 구체적으로 어떤 작용을 할까? 예컨대 우리는 심장과 위장을 의식적으로 움직이지 못한다. 의지와 관계없이 24시간 움직이고 있다. 자율 신경 계통은 의지와 상관없이 작용을 하며 생명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자율 신경 계통은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로 나뉜다. 대다수 장기에서는 교감 신경 계통과 부교감 신경 계통의 지령을 모두 받으며, 이 두 계통은 반대 지령을 내리는 일이 많다. 다시 말해 한쪽이 촉진 작용을 하면 다른 쪽은 억제 작용을 한다. 따라서,.. 2023. 6. 21.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뇌와 척수 Contents 1. 뇌의 종류뇌는 대뇌, 중뇌, 소뇌, 사이뇌, 뇌줄기 등 네 개 부위로 이루어져 있다. 무게는 성인 기준 약 1,300g이며 약 천 수배억 개의 뉴런이 연결되어 형성되었다. 뉴런은 머리뼈 안의 뇌척수액에 떠 있는데, 뇌척수액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해주는 역할도 한다. 뇌는 각 부위마다 하는 일이 다르다. 대뇌: 뇌의 가장 바깥쪽 형태를 이루며 뇌 전체 무게의 약 80%를 차지한다.[인지, 언어, 기억 등의 고차 기능 담당]중뇌: 뇌의 중간에 위치하면, 해마와 변연계로 구성한다.[감정, 단기 기억 기능 관장]소뇌: 대뇌의 뒤쪽에 위치한다. [근육의 수축 조절 등 운동 기능 관장]사이뇌: 대뇌와 뇌줄기 사이에 있는 작은 영역, 시상과 시상 하부로 구성된다.[자율신경 조절 지배]뇌줄기:.. 2023. 6. 21.

생리학에 관한 주제: 근육 Contents 1. 근육의 종류 인간의 몸은 다양한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근, 민무늬근 등 세 종류로 구분된다. 보통 근육이라고 하면 팔다리의 근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은 골격근에 해당된다. 골격근은 기본적으로 두 개의 뼈에 걸쳐 있으며 근육의 이완과 수축을 통해 다리와 팔 등을 움직이게 하는 작용을 한다. 심근은 심장과 벽을 이루는 근육이다. 심근은 항상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혈액을 내보내는데, 이것은 심근의 작용에 따른 것이다. 민무늬근은 주로 혈관과 소화관, 방광, 자궁 등의 장기를 움직이는 근육이다. 예컨대 위장의 벽을 이루는 민무늬근은 수축을 통해 꿈틀 운동을 일으켜 음식물 등 내용물을 이송하여 소화를 돕는다. 방광과 자궁의 민무늬근은 배설과 분만 시 수축한다... 2023. 6. 21.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르몬 Contents 1. 호르몬 호르몬은 몸속에 분비되어 몸속의 상황에 따라 각 기관의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예로, 에스트로겐은 대표적인 여성 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안드로겐[대표 테스토스테론]은 대표적인 남성 호르몬으로 남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호르몬은 내분비샘이라 불리는 기관에서 혈액 속으로 직접 분비되며, 장기와 조직에서도 분비된다. 호르몬은 혈액을 통해 수송되어 멀리 떨어진 장기에 작용하는데 이러한 작용 방식을 내분비라고 한다. 반면 땀이나 눈물, 소화액처럼 도관을 통해 분비 기관 밖으로 나가는 현상을 외분비라고 한다. 2. 호르몬의 종류 분비 기관 분비 호르몬 주요 표적 기관 주요 기능 시상하부 갑상샘 자극 호르몬 방출.. 2023. 6. 21.

생리학에 관한 주제: 순환 Contents 1. 순환 인체는 심장에서 산소와 영양소가 가득한 혈액이 나와 온몸 구석구석으로 운반한다.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은 주먹만 한 크기의 심장이 담당하며,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동맥을 통해 온몸의 조직과 세포로 운반된 후, 정맥을 통해 다시 심장으로 되돌아온다. 과정은 왼심실에서 나오는 산소 농도가 높은 동맥혈이 몸 전체로 운반된다. 대순환 왼심실 ▶ 대동맥▶ 동맥▶ 세동맥▶ 모세혈관(산소) 오른심방 ◀대정맥 ◀정맥 ◀세정맥 ◀모세혈관(이산화탄소) 2. 심장 1) 구조와 기능 인간의 심장은 2심방[오른심방, 왼심방], 2심실[오른심실, 왼심실]로 구성되어 있다. 심방과 심실은 심근이라 불리는 튼튼한 근육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심근에는 특수 심근과 고유 심근이 있는데, 심장은 항상 충분한 양의 .. 2023. 6. 21.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혈액 Contents 1. 혈액 성분 혈액은 액체 성분[혈장]과 세포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성분에는 수분뿐만 아니라 단백질도 들어 있는데, 그 중 약 60%가 알부민, 약 40%가 글로불린이다. 그 밖에도 280종류가 넘는 단백질이 존재하며, 비타민과 미네랄 등 미량 원소도 함유하고 있다. 이들은 필요한 장기로 운반된다. 알부민은 아미노산을 공급하는 영양원일 뿐 아니라, 혈장의 삼투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혈액을 혈관 속에 저장하는 등 여러 가지 작용을 한다. 혈장에서 혈액을 응고시키는 피브리노젠이라는 단백질을 제거한 것을 혈청이라고 한다. 세포 성분에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있다. 이들은 골수의 줄기세포에서 분화되어 만들어진다. 적혈구는 산소와 이산화탄소.. 2023. 6. 21.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흡 Contents 1. 호흡 호흡이란,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들숨, 내뱉는 것을 날숨이라고 표현한다. 호흡은 세포가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기 중에서 빨아들이고, 에너지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몸 밖으로 배출하는 과정을 한다. 허파로 들어온 산소는 허파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보내져 심장에서 대동맥을 통해 온몸의 세포로 운반된다. 또 에너지를 만들 때 발생한 이산화 탄소는 대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운반되고, 심장에서 허파 동맥을 거쳐 허파로 운반되어 몸 밖으로 배출된다. 2. 호흡하는 곳 호흡은 허파를 중심으로 한 호흡기 계통의 장기에서 이루어진다. 호흡을 하면 공기는 코 안, 입안에서 인두, 후두를 지나 숨관으로 들어가고, 좌우로 갈라진 .. 2023. 6. 21.

생리학에 관한 주제: 여과 Contents 1. 토리 1) 토리에서의 여과 토리의 벽은 안쪽부터 모세 혈관 내피 세포, 바닥막, 발 세포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세 혈관 내피 세포는 지름 50 ~ 100nm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투과성이 높다. 바닥막은 그물 형태를 하고 있으며 매우 가늘고, 발 세포에 작은 구멍(5 ~ 10nm)이 있어서 큰 물질은 통과하지 못한다. 이처럼 단계적으로 필터의 기능이 작용하여 하루에 약 160L의 혈액을 여과한다. 토리에서 여과되는 양은 99% 이상은 토리 쪽 세관과 먼쪽 세관에서 재흡수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하루에 약 1.5L만 소변으로 배설된다. 2) 여과되는 것 혈액의 주요 성분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이 있다. 이것들은 몸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토리에서는 이것들.. 2023. 6. 21.

생리학에 관한 주제: 배설 Contents 1. 콩팥의 기능 인간은 배뇨를 통해 혈액 속 불필요한 물질과 유해 물질을 끊임없이 몸 밖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콩팥이다.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분해 물질과 유독 물질이 혈액을 통해 콩팥으로 운반되면 콩팥에서 여과, 재흡수, 분비 등 세 단계를 거쳐 소변이 되어 배설된다. 여과는 토리에서, 재흡수와 분비는 세뇨관에서 이루어진다. 콩팥은 몸에 불필요한 성분을 소변의 형태로 배출할 뿐 아니라 몸속의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수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소변의 배설 횟수가 줄어드는데, 콩팥이 수분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그 밖에 혈액 속 염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특수한 효소를 분비하여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도 한다. 콩팥에서 만들어진 효소 중 대표적.. 2023. 6. 21.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