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1분헬스5

웨이트 트레이닝 빠르게 하기 VS 느리게 하기[비교분석] Contents 1. 들어가며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빠르게 하면 좋을지, 느리게 하면 좋을지 고민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런 고민을 해보셨다면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열정과 고민이 많은 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 문제는 운동수행능력과 속도에 관한 논문에서도 심도 있게 다루고 있는데, 빠르게 운동을 할 경우 더 많은 운동 불륨을 만들어내 근성장에 유리하다는 주장과 느리게 운동할 경우 TUT[근육이 자극에 노출되는 시간]가 증가하여 근성장에 유리하다는 주장이 첨예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빠르게 혹은 느리게 운동하는 것에 관한 문제를 해결해보고자 글을 씁니다. 구체적으로, TUT란 무엇이며 이것에 대한 효과 및 비교분석 그리고 결론 순으로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이 글을 끝.. 2023. 7. 22.

근지구력운동 VS 근력운동 VS 근비대운동[완벽비교] Contents 1. 들어가며 우리가 운동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한 신체를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허나, 이를 3가지의 유형으로 나눠보면 [근지구력 운동, 근력 운동, 근비대 운동]으로 분류가 됩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목적에 따라 '횟수, 무게, 휴식시간'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체형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아래의 예시를 통해 설명을 드리면, 예시 1) 근지구력, 근력, 근비대 운동에 따른 체형 비교 예시 2) 근지구력, 근력, 근비대 운동에 따른 근원섬유의 구성 형태 보충설명 1) 속근 섬유와 지근 섬유 Type 속근[백근] 지근[적근] 근수축 빠름 느림 피로 약함 강함 적합 운동 근력, 근비대 운동 근지구력 운동 1) 근지구력 운동: 지근[적근]을 주로 사용.. 2023. 6. 1.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꼭! 해야 하는 이유[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병행 문제는 수많은 헬스인들의 고민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유는 유산소 운동이 근성장을 저해시킨다는 확실한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저 또한, 근성장을 목적으로 무산소 운동을 진행할 때는 최대한 유산소 운동은 안 하는 방향으로 진행했었는데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게 된 이후로는 무산소 운동 후, 10분씩 유산소 운동을 꼭! 해주고 있습니다. 만약, 제가 어떠한 이유로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진행하는지 궁금하시다면 혹은 '무산소 운동 시 유산소 운동을 해야 할까?라는 고민이 있으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는 것만으로도 고민이 해결되실 것이라 확신합니다 :) 2. 소개 1)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병행해야 하는 이유 유산소.. 2023. 5. 26.

유산소 운동이 '똑똑한 뇌'를 만든다는 사실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미국의 성공한 CEO 125명을 조사한 결과, 유산소 운동을 두뇌 발달을 위해 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 됐습니다:) 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BDNF[뇌유래신경영양인자]라는 단백질이 방출되는데, BDNF가 우리 뇌의 신경 성장, 시냅스 가소성 및 뉴런 간 연결성 강화를 만들어 두뇌 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저 또한, 이전까지는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했지만, 이 사실을 알게 된 이후 매일 더 똑똑한 두뇌를 위해 유산소 운동을 즐겁게 하고 있는데요. 만약, 유산소 운동이 어떻게 우리의 뇌를 똑똑하게 만드는지 궁금하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 구체적으로 BDNF 소개, 유산소 운동과 BDNF의 생성 관계, 유산소 운동과 해마 간 관계, 결론 순.. 2023. 5. 25.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를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문제: 달리기는 유산소 운동일까? 무산소 운동일까? [정답은 결론에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 주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퍼스널 트레이너를 준비하면서 기준을 잘 몰라 고생했던 제가 이제는 구분하는 기준 알게 돼 고민을 해결했습니다:) 그래서 저와 같은 고민이나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 분들을 위해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기준]에 관해 글을 씁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기만 해도 도움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2. 운동 비교[요약] 구분 유산소 운동 무산소 운동 에너지 시스템 미토콘드리아로 에너지 생성 글리코겐으로 에너지 생성 에너지원 포도당, 지방산 포도당 운동강도 50% ~ 85% 범위 강도 86% ~ 100% 범위 강도 운동효율 ATP 생성 좋음 A.. 2023. 5. 23.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