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들어가며
낯선 사람들 앞에서 자기를 소개하거나 누군가를 소개해야 할 때, 스트레스 받지 않으신가요?
특히, 웃자고 던진 농담을 진심으로 받아들이는 경우가 많은데,
친해지고 난 후에야 "00아, 너 처음 봤을 때 첫인상이 별로였어"라는 충격적인 말을 듣는 경우가 많습니다.
저 또한, 이런 고민으로 인해 어떻게 소개해야 할 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해봤는데요,
심리학 기법인 '초두효과'와 '최신효과'를 적재적소에 활용한 덕분에 이런 고민을 끊어낼 수 있었습니다!
만약, 저와 같은 고민을 하고 계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는 것만으로도 고민이 해결되실 것이라 확신합니다.
2. 소개
1) 개념 이해
초두효과는 처음에 제시된 정보가 기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뜻합니다.
EX) 솔로몬 애쉬의 실험
A B 똑똑하다 질투심이 많다. 근면하다 고집스럽다 충동적이다 비판적이다 비판적이다 충동적이다 고집스럽다 근면하다 질투심이 많다 똑똑하다
실험 결과:
(1) A와 B는 성격 정보가 같지만, 배열을 달리함에 따라 다르게 인지된다는 것이 확인된 실험입니다.
(2) A는 똑똑하고, 근면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B는 질투심 많고, 고집스러운 이미지가 형성됐습니다.
최신효과는 나중에 제시된 정보가 기억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뜻합니다.
EX) 타인 소개 실험
A는 똑똑하고 성실하지만, 질투심이 많아. A는 질투심은 많은데, 똑똑하고 성실해.
실험 결과:
(1) A에게 주어진 성격 정보는 같으나, 마지막에 들어온 정보가 영향을 미친 실험입니다.
(2) A는 질투심이 많은 게 기억에 남고, B는 똑똑하고 성실한 것이 기억에 남습니다.
2) 첫인상 결정 요인
시각적 요소 [이미지, 외모, 표정] |
55% |
청각적 요소 [목소리, 음역대] |
38% |
언어적 요소 [논리, 화술] |
7% |
출처 - 알버트 메라비안[캘리포니아 대학교] |
첫인상은 3초 내외로 형성되지만, 자신을 소개하거나, 소개해주는 상황에서는 첫인상이 형성되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그렇기에, 주어진 성격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외모, 표정'에 대한 인식을 다르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3) 첫인상이 중요한 이유
첫인상이 결정되는 시간 | 3초 ~ 20분 |
첫인상이 바뀌는 시간 | 40시간 |
출처 - 2012년 1월 19일, 포스코신문 / TREND |
첫인상이 중요한 이유는 '효율'에 있습니다.
첫인상은 빠르면 3초 내외로 형성되고, 자기 소개를 할 수 있는 경우 20분 내외로 형성됩니다.
허나, 한 번 각인된 첫인상을 바꾸기 위해서는 약 40시간 이상을 붙어있어야만 바뀌게 됩니다.
이는 빠르게 변하는 현대 사회의 매커니즘에 부합하지 않으며,
어느 누구도 기다려주지 않는 것이 현실이기에 자신의 첫인상을 처음부터 제대로 형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활용
초두효과와 최신효과는 소개하는 시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됩니다.
1) 자신 혹은 타인을 30초 이상 소개할 때는 초두효과를 활용해야 합니다.
- 길게 소개할 때, 사람들은 처음에 제시된 단어에 강렬한 인상을 기억하기 쉽습니다.
- 왜냐하면, 인간의 단기기억은 많은 정보를 즉각적으로 담아내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 주의할 점은 처음 제시된 단어의 정보 가치가 낮으면, 초두효과는 발휘되지 못하고 아무런 기억도 남지 않습니다.
2) 자신 혹은 타인을 30초 미만으로 소개할 때는 최신효과를 활용해야 합니다.
- 짧게 소개할 때, 마지막에 나온 단어를 단기기억하기 쉽다.
- 주의할 점은 최대한 긍정적인 단어를 마지막에 해야 합니다. 맨 뒤의 단어를 생생하게 기억하기 때문입니다.
4. 결론
길게 소개할 때 | 짧게 소개할 때 |
초두효과를 활용하라. | 최신효과를 활용하라. |
A는 똑똑하고, 성실하고, 고집이 세고, 질투가 강함 | A는 고집은 세지만, 똑똑하고 성실해 |
5.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심리 읽어드립니다』여사친 VS 남사친, 그들은 진짜 친구인가?
Contents 1. 들어가며 영원히 풀리지 않을 것 같은 남사친 / 여사친 문제에 대해 여러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깻잎 논쟁, 대게 논쟁, 지퍼 논쟁 등 남녀 관계의 친구 문제는 가장 뜨거운 논쟁거
lab-map-brain.tistory.com
지능의 역설로 알아보는 '지능이 높은 사람'의 5가지 특징!
Contents 1. 들어가며 살면서 자신이 남들과는 다르다는 생각을 해보셨나요? 실제로 지능이 높은 사람은 타인보다 예민하거나, 다른 생각을 하고 있는 등의 몇 가지 특성이 확인 됐는데요, 그중 '지
lab-map-brain.tistory.com
『지능의 역설』예민한 성격이 IQ가 높은 이유
Contents 1. 소개 [지능의 역설]은 지능의 본질에 대해 사람들이 흔히 가지는 오해를 풀기 위해 진화심리학자 가나자와 사토시가 쓴 심리학 저서이다. 본문의 주제는 진화심리학을 바탕으로 ‘지능
lab-map-brain.tistory.com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인구의 3%만 '이것'의 작동 원리를 안다.
Contents 1. 소개 [결국 해내는 사람들의 원칙]은 100여 개 국가의 베스트셀러 작가인 피즈 부부가 뇌과학의 관점에서 본 ‘원하는 것을 이루는 구체적인 방법’을 이야기하는 저서이다. 책의 목표
lab-map-brain.tistory.com
왼손잡이는 오른손잡이보다 똑똑하다!?[A to Z]
Contents 1. 들어가며 흔히, 왼손잡이는 오른손잡이보다 똑똑하다는 말이 있습니다 :) 살면서 한 번쯤을 들어봤을 만한 주제지만, 구체적으로 왜 이런 이야기가 나왔는지는 모르실 텐데요. 그래서
lab-map-brain.tistory.com
탈모와 남성 호르몬의 관계를 아시나요?[A to Z]
Contents 1. 들어가며 탈모와 남성 호르몬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다는 사실, 아시나요? 아마 대부분 어느 정도는 알고 계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허나, 구체적으로 어떤 원리로 인해 이와 같은 현
lab-map-brain.tistory.com
본 포스팅은 제3자로부터 간접 광고, 금전 후원, 보증 광고와 같은 유료 프로모션을 제공 받지 않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