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호르몬

호르몬은 몸속에 분비되어 몸속의 상황에 따라 각 기관의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예로, 에스트로겐은 대표적인 여성 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며, 안드로겐[대표 테스토스테론]은 대표적인 남성 호르몬으로 남성의 2차 성징 발현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호르몬은 내분비샘이라 불리는 기관에서 혈액 속으로 직접 분비되며, 장기와 조직에서도 분비된다.
호르몬은 혈액을 통해 수송되어 멀리 떨어진 장기에 작용하는데 이러한 작용 방식을 내분비라고 한다. 반면 땀이나 눈물, 소화액처럼 도관을 통해 분비 기관 밖으로 나가는 현상을 외분비라고 한다.
2. 호르몬의 종류
분비 기관 | 분비 호르몬 | 주요 표적 기관 | 주요 기능 |
시상하부 | 갑상샘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 뇌하수체 앞엽 | 감생샘 호르몬 분비 촉진 |
곁콩팥 겉질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 겉콩팥 겉질 호르몬 분비 촉진 | ||
성장 호르몬 방출 호르몬 | 성장 호르몬 분비 촉진 | ||
뇌하수체 | 갑상샘 자극 호르몬 | 갑상샘 | 감상샘 호르몬의 분비 촉진 |
곁콩팥 겉질 자극 호르몬 방출 호르몬 | 곁콩팥 겉질 | 곁콩팥 겉질 호르몬의 분비 촉진 | |
난포 자극 호르몬 | 난소, 정소 | 난소, 정소의 생식 세포 성장 촉진 | |
항체 형성 자극 호르몬 | 난소, 정소 | 난소, 정소의 생식 세포 성장 촉진 | |
갑상샘 | 갑상샘 호르몬 | 온몸 | 기초 대사 및 성장 촉진 |
칼시토닌 | 뼈. 콩팥 | 칼슘 이온이 콩팥에서 배설 되는 것을 촉진 | |
부갑상샘 | 부갑상샘 호르몬 | 뼈, 콩팥 | 칼슘 이온이 콩팥에서 배설 되는 것을 촉진 |
곁콩팥 겉질 | 당류 코르티코이드 | 온몸 | 간에서 당신생을 촉진 |
전해질 코르티코이드 | 콩팥 | 염분 농도와 물의 균형 유지 | |
곁콩팥 코르티코이드 | 전신 | 남성 성기의 발달, 체모 증가 | |
곁콩팥 속질 | 아드레날린 | 골격근, 심근, 혈관, 지방 세포 | 근수축의 촉진, 심장 박동 수의 증가, 소화관 운동의 저하, 지방 분해 촉진 |
노르아드레날린 | 골격근, 심근, 혈관, 지방 세포 | 심장 박동 수의 증가, 소화관 운동의 촉진, 지방 분해 촉진 | |
이자 | 인슐린 | 간, 근육, 지방 세포 등 | 글리코젠의 합성 촉진, 지방 조직에서의 당 흡수 촉진 |
글루카곤 | 간, 지방 세포 | 클리코젠의 분해 촉진, 혈당치 상승 | |
소마토스타틴 | 랑게르한스섬 | 성장 호르몬 분비 억제, 인슐린 및 글루카곤의 분비 억제 | |
난소 | 에스트로겐 | 생식기 등 | 난포 발육, 2차 성징 촉진 |
프로제스테론 | 생식기 등 | 기초 체온 상승 | |
정소 | 테스토스테론 | 생식기 등 | 근육 증대, 체모 증가 |
3. 작용 원리
1) 수용성 호르몬의 작용
수용성 호르몬은 지질 이중막 구조인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기에 세포막 표면에 나와 있는 수용체에 결합한다. 즉, 세포 안으로 들어가지 않고 수용체를 통해 세포 안으로 신호를 전달하는 물질을 보내서 신호를 전달한다.
2) 지용성 호르몬의 작용
지용성 호르몬은 세포막을 통과할 수 있기에 세포막을 뚫고 세포 안으로 들어가 세포 안에 있는 수용체와 직접 결합한다. 그리고 이 수용체의 복합체가 핵 속 DNA의 특정 영역과 연계되어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조절한다.
3) 호르몬 분비 조절
호르몬 작용은 혈중 농도에 따라 결정된다. 호르몬의 혈중 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분비의 조절은 피드백이라는 장치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것은 혈중 호르몬 농도가 낮아지면 즉각 작용하고, 높도가 높을 때는 작용하지 않는다. 호르몬이 분비되면 표적 세포에 작용하여 그 역할을 수행하고 이런 호르몬이 과다 분비되면 자시느이 분비 기관에 작용하여 필요 이상으로 분비되지 않도록 분비량을 조절한다. 이를 음성 피드백이라고 부른다.
4. 성호르몬
인간은 성인기가 되는 과정에서 사춘기를 맞이한다. 신체적으로나 성적으로나 성장하는 시기인데, 성적인 성장을 컨트롤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이 성호르몬이다. 성호르몬에는 여성 호르몬과 남성 호르몬이 있다.
5. 여성 호르몬
1) 에스트로겐
에스트로겐은 배란 전에 분비되어 난포를 성장시키는 데 크게 기여하기에 난포 호르몬이라고 한다.
콜레스테롤을 재료로 합성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제 2차 성징을 촉진하고 사춘기 이후 분비가 증가하여 프로제스테론과 함께 월경 주기에 따라 농도가 달라진다. 난포의 성장과 함께 분비되며 자궁 내막을 두텁게 만들어 수정란이 자궁 내막에서 착상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준다. 그 밖의 기능으로는 젖샘 발달, 지질 대사 제어 등의 작용을 한다.
2) 프로제스테론
프로제스테론은 콜레스테롤을 재료로 만들어지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이다.
배란 후 황체기에 증가하기에 황체 호르몬이라고도 불린다. 프로제스테론은 자궁 내막을 두텁게 하여 임신에 대비하는 작용을 한다. 자궁 내막샘의 분비를 촉진하여 자궁 민무늬근의 활동을 억제시키는 방법으로 수정란이 순조롭게 착상할 수 있도록 돕는다.
임신이 성립되지 않으면 황체가 퇴화하고 혈중 프로제스테론 농도가 저하되어 자궁내막이 유지되지 못한다. 이에 자궁 밖으로 배출되어 월경이 시작된다. 또한 젓샘을 발달시켜 배란 후에 가슴이 커지는 경우도 있다. 그 밖의 기능으로는 혈당치를 정상으로 되돌리거나 체지방을 줄여 호르몬 균형을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6. 남성호르몬
1) 정자의 생성
정자의 길이는 약 0.05mm로 사람의 세포 중에서 가장 작다. 머리, 목, 중간 부분, 꼬리로 구성되어 있으며, 머리에는 핵이 있다. 그 속에 있는 23개의 염색체에 부계 유전 정보가 들어 있다. 중간 부분에는 미토콘드리아가 나선 모양으로 감겨 있으며 정자 운동을 위한 에너지원이 된다. 꼬리는 올챙이의 꼬리와 비슷하다.
난자의 분비물을 감지하고 난자를 향해 자궁 안을 헤엄쳐 가는 데 필요하다. 정자는 매일 약 3,000만개. 일생 동안 약 1조 ~ 2조 개가 만들어진다. 정자는 10 ~ 20일 걸려서 정관을 지나 정낭, 전립샘 등에서 각각 분비액과 섞여 정액이 된다. 그리고 귀두의 바깥 요도 구멍을 통해 사정되며, 1회 사정량은 약 2 ~ 6cc다.
2) 안드로겐
안드로겐은 남성화 작용을 촉진하는 남성 호르몬이다.
대표적으로 테스토르테론이 있으며, 정소에서 콜레스테롤을 재료로 합성 및 분비한다. 테스토스테론이 부족하면 5-a 환원 효소라는 효소에 의해 테스토스테론이 더 강하게 작용하는 남성 호르몬으로 변환된다. 이것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라는 남성 호르몬이다. 소량이지만 테스토스테론은 여성에게서도 곁콩팥과 난소에서 합성되어 분비된다. 곁콩팥에서 분비되는 곁콩팥 안드로겐은 테스토스테론에 비해 활성이 약해서 생리적으로 크게 중요한 작용을 하진 않는다.
(1) 테스토스테론
태아기에 정원세포의 형성, 사춘기에 신체의 남성화에 작용한다.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외성기 형성에 반드시 필요하며 사춘기 이후 남성형 발모와 탈모에 관여한다. 테스토스테론은 골격근을 발달시키는 작용을 하기에 근육량 증강을 목적으로 운동선수가 부정을 사용하는 사례도 있다. 이것은 도핑의 대상 물질로 단속이 엄격히 이루어진다.
7.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생리학에 관한 주제: 근육
Contents 1. 근육의 종류 인간의 몸은 다양한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근, 민무늬근 등 세 종류로 구분된다. 보통 근육이라고 하면 팔다리의 근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순환
Contents 1. 순환 인체는 심장에서 산소와 영양소가 가득한 혈액이 나와 온몸 구석구석으로 운반한다.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은 주먹만 한 크기의 심장이 담당하며,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동맥을 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혈액
Contents 1. 혈액 성분 혈액은 액체 성분[혈장]과 세포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성분에는 수분뿐만 아니라 단백질도 들어 있는데, 그 중 약 60%가 알부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흡
Contents 1. 호흡 호흡이란,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들숨, 내뱉는 것을 날숨이라고 표현한다. 호흡은 세포가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여과
Contents 1. 토리 1) 토리에서의 여과 토리의 벽은 안쪽부터 모세 혈관 내피 세포, 바닥막, 발 세포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세 혈관 내피 세포는 지름 50 ~ 100nm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투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배설
Contents 1. 콩팥의 기능 인간은 배뇨를 통해 혈액 속 불필요한 물질과 유해 물질을 끊임없이 몸 밖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콩팥이다.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분해 물질과 유독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대사
Contents 1. 탄수화물 대사 대사는 초가 타는 현상과 매우 흡사하다. 초가 탈 때 초의 탄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화학 변화를 일으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불이 붙어 열에너지가 나온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영양소
Contents 1. 소개 1) 5대 영양소 (1) 탄수화물 혈중 글루코스(혈당)는 각 세포로 유입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아미노산, 지질의 합성에 쓰인다. 간과 근육에 글리코젠의 형태로 저장된다. 탄수화물은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유전자
Contents 1. 소개 유전자는 단백질의 설계도이다. 흔히, '유전'이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세포 안에는 핵이 있고, 그 속의 염색체에는 DNA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세포
Contents 1. 소개 사람의 몸은 세포라는 인체의 최소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에는 유전 정보가 들어 있는 DNA가 있으며 세포막이라는 막에는 다양한 작용을 하는 기관이 들어있다. 이것을 세포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생리학
Contents 1. 소개 생리학(physiology)은 몸이 세포로부터 조직, 조직으로부터 기관, 기관으로부터 기관계에 걸쳐 어떻게 작용하는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
lab-map-brai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