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소개
생리학(physiology)은 몸이 세포로부터 조직, 조직으로부터 기관, 기관으로부터 기관계에 걸쳐 어떻게 작용하는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지 등 총체적 기능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생리학은 처음에 심장과 순환기 계통 등 육안으로 보이는 기관 계통의 연구에서 출발했다. 그 후 기관 및 조직을 구성한 세포, 세포를 구성하는 세포막의 연구가 생리학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를 세포(일반) 생리학이라고 하고, 기관 계통을 다루는 것을 기관(시스템) 생리학이라고 한다.
생리학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세포, 기관, 시스템의 정상적 기능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과학인 병태생리학은 질병이 상해가 일어났을 때 생리과정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병태생리학과 정상 생리학 연구는 상호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인체의 원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사람을 직접 연구하지 못할 때는 동물 모델을 이용해 연구를 수행해 왔는데, 이런 도움을 통한 실험 결과는 사람의 인체 활동을 추찰 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생리학 연구에 큰 공헌을 했다. 그런데 사람의 신체 원리 가운데에는 동물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사람만의 특유의 것이 있다. 그래서 아직 미해결 된 영역이 많이 남아 있다.
2. 기초
몸의 생리 기능이 정상으로 작용하지 못하면 병적 상태에 이르게 되는데, 그 진단과 치료에는 정상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생리학에 대한 기초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
생리학은 당초 심장과 순환기 계통 등 육안으로 확인하지 못하는 기관 계통을 연구하는데서 출발한다. 이후 흥분, 수축, 분비, 물질 수송 등 기관과 조직을 구성하는 세포와 그것을 구성하는 세포막 등의 요소에 대한 연구가 생리학의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다. 최근 분자 수준의 이해를 기초로 하여 부자에서 세포로, 세포에서 조직 및 기관으로, 조직 및 기관에서 개체로 연구가 이어진다.
3. 역사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가 인체의 기능에 대한 깊은 고찰을 했으나, 에라시스트라투스가 물리적 법칙을 인체의 기능 연구에 응용하고자 시도한 덕분에 아리스토텔레스 대신 그를 생리학의 아버지로 부른다.
갈레노스는 르네상스 전까지 생리학의 최고 권위자로 인정 받았으며, 심장이 폐쇄된 혈관을 을 통해 혈액을 펌프 한다는 사실을 밝힌 영국의 의사 하비의 혁신적 연구로 생리학은 드디어 실험과학으로 발전하게 된다. 근대로 넘어와서 프랑스의 생리학자 베르나르는 내부 환경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놀라울 정도로 불변성을 유지한다고 서술했는데, 이를 미국의 생리학자 캐넌(1871 ~ 1945)이 내부의 불변성을 항상성이라고 칭했다. 그는 생리적 조절의 많은 기작은 오로지 항상성 유지를 위한 것이라고 서술했다.
4. 분류
1) 기관 생리학(시스템 생리학)
심장과 간 등 육안으로 보이는 기관에 대한 연구, 본래 생리학 연구는 이 분야에서 출발했다.
2) 세포 생리학(일반 생리학)
개체를 만드는 세포나 세포막 등의 원리를 해명한다. 현재는 이 분야의 연구가 널리 이루어지고 있다.
3) 실험 생리학
사람으로 실험하지 못하는 것을 동물을 이용해 해명한다. 인체 현상의 원리를 해명하는 생리학 연구에 크게 공헌했다.
5.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생리학에 관한 주제: 근육
Contents 1. 근육의 종류 인간의 몸은 다양한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근, 민무늬근 등 세 종류로 구분된다. 보통 근육이라고 하면 팔다리의 근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르몬
Contents 1. 호르몬 호르몬은 몸속에 분비되어 몸속의 상황에 따라 각 기관의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예로, 에스트로겐은 대표적인 여성 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순환
Contents 1. 순환 인체는 심장에서 산소와 영양소가 가득한 혈액이 나와 온몸 구석구석으로 운반한다.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은 주먹만 한 크기의 심장이 담당하며,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동맥을 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혈액
Contents 1. 혈액 성분 혈액은 액체 성분[혈장]과 세포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성분에는 수분뿐만 아니라 단백질도 들어 있는데, 그 중 약 60%가 알부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흡
Contents 1. 호흡 호흡이란,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들숨, 내뱉는 것을 날숨이라고 표현한다. 호흡은 세포가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여과
Contents 1. 토리 1) 토리에서의 여과 토리의 벽은 안쪽부터 모세 혈관 내피 세포, 바닥막, 발 세포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세 혈관 내피 세포는 지름 50 ~ 100nm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투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배설
Contents 1. 콩팥의 기능 인간은 배뇨를 통해 혈액 속 불필요한 물질과 유해 물질을 끊임없이 몸 밖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콩팥이다.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분해 물질과 유독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대사
Contents 1. 탄수화물 대사 대사는 초가 타는 현상과 매우 흡사하다. 초가 탈 때 초의 탄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화학 변화를 일으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불이 붙어 열에너지가 나온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영양소
Contents 1. 소개 1) 5대 영양소 (1) 탄수화물 혈중 글루코스(혈당)는 각 세포로 유입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아미노산, 지질의 합성에 쓰인다. 간과 근육에 글리코젠의 형태로 저장된다. 탄수화물은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유전자
Contents 1. 소개 유전자는 단백질의 설계도이다. 흔히, '유전'이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세포 안에는 핵이 있고, 그 속의 염색체에는 DNA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세포
Contents 1. 소개 사람의 몸은 세포라는 인체의 최소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에는 유전 정보가 들어 있는 DNA가 있으며 세포막이라는 막에는 다양한 작용을 하는 기관이 들어있다. 이것을 세포
lab-map-brai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