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소개
유전자는 단백질의 설계도이다.
흔히, '유전'이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세포 안에는 핵이 있고, 그 속의 염색체에는 DNA라는 물질이 있다. 이것이 유전자의 본체로, 부모에서 자녀에게 계승되는 정보가 편입되어 있다. 또한, 세포 안에서의 활동에 꼭 필요한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도 포함되어 있다.
즉, DNA는 세포가 활동하기 위해 필요한 단백질을 만드는 정보원이다. 따라는 유전자는 생명의 설계도라고 할 수 있다.
2. 유전자 구조
DNA는 어떤 구조를 하고 있는가?
DNA는 3 가지 물질. 즉, 인산, 데옥시리보스(당)와 염기로 구성되어 있다. 당과 인산과 염기가 사슬처럼 길게 이어진 것을 폴리뉴클레오타이드라고 한다. DNA는 두 개의 폴리뉴클레오타이드가 염기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본 상태에서 나선형으로 이어져 있다. 이를 DNA의 이중 나선 구조라고 부른다. 이것이 바로 유전자의 본체다.
DNA를 구성하는 염기는 아데닌(A), 사이토신(C), 구아닌(G), 타이민(T) 등 네 종류가 있다. DNA는 염기를 사이에 두고 이중 나선을 이루고 있는데, 아데닌(A)은 타이민(T)과 구아닌(G)은 사이토신(C)과 결합한다. 아데닌(A)은 구아닌(G)이나 사이토신(C)과 결합하지 못한다. 이 네 종류의 염기가 단백질이 될 아미노산을 만드는 암호가 된다.
세포 | 핵 | 염색체 | 인산 | |
데옥시리보스(당) | ||||
염기 | 아데닌(A) | |||
사이토신(C) | ||||
구아닌(G) | ||||
타이민(T) |
3. 단백질 구성
DNA에서 단백질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이 때 중요한 것이 단백질의 합성을 돕는 mRNA(전령RNA)다. 보통 DNA는 두 개의 사슬로 이루어진 이중 나선 구조를 띠는데, 단백질을 합성할 때 이중 나선이 풀어져 하나의 사슬이 된다.
그러면 풀어진 사슬에 있는 DNA의 염기에 mRNA가 결합한다. mRNA를 구성하는 염기는 아데신(A), 구아닌(G), 사이토신(C), 우라실(U) 등 네 종류이기에 우라실(U)이 타이민(T)을 대신하여 DNA의 아데닌(A)과 결합한다.
mRNA | |||
아데신(A) | 구아닌(G) | 사이토신(C) | 우라실(U) |
이처럼 DNA의 한쪽 사슬을 주형으로 하여 mRNA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전사라고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mRNA는 DNA를 떠나 핵막의 작은 구멍으로 나와 세포질 안의 라이보솜이라는 세포 내 소기관으로 이동한다.
라이보솜 표면에서 tRNA라 mRNA의 암호를 해독해 세 개의 연속된 염기에 대응하는 하나의 아미노산을 운반한다. tRNA는 차례로 암호를 해독하여 그에 맞게 아미노산을 순서대로 배열한다. 이 아미노산끼리 결합하여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이 과정을 번역이라고 한다.
1) 아미노산
아미노산은 아미노기와 카복시기를 가지고 있다. 단백질을 만드는 아미노산은 20종류가 있는데, 사람은 몸속에서 절반 정보밖에 만들지 못하기에 반드시 음식물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이처럼 몸속에서 만들 수 없기에 외부로부터 섭취하는 아미노산을 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한다. 그 밖의 아민노산은 비필수 아미노산이라고 하며 몸속에서 필요에 따라 필요한 만큼 만들어진다.
(1) 필수 아미노산 목록
필수 아미노산 | 3문자 표기 | 1문자 표기 |
메싸인오닌 | Met | M |
트레오닌 | Thr | T |
류신 | Leu | L |
아이소류신 | Ile | I |
발린 | Val | V |
페닐알라닌 | Phe | F |
트립토판 | Trpp | W |
라이신 | Lys | K |
(2) 비필수 아미노산
비필수 아미노산 | 3문자 표기 | 1문자 표기 |
타이로신 | Tyr | Y |
알라니 | Ala | A |
아스파라진 | Asn | N |
아스파라진산 | Asp | D |
알지닌 | Arg | R |
글루탐산 | Glu | E |
글루타민 | Gln | Q |
세린 | Ser | S |
프롤린 | Pro | P |
히스티딘 | His | H |
글리신 | Gly | G |
시스틴 | Cys | C |
4.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생리학에 관한 주제: 근육
Contents 1. 근육의 종류 인간의 몸은 다양한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근, 민무늬근 등 세 종류로 구분된다. 보통 근육이라고 하면 팔다리의 근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르몬
Contents 1. 호르몬 호르몬은 몸속에 분비되어 몸속의 상황에 따라 각 기관의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예로, 에스트로겐은 대표적인 여성 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순환
Contents 1. 순환 인체는 심장에서 산소와 영양소가 가득한 혈액이 나와 온몸 구석구석으로 운반한다.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은 주먹만 한 크기의 심장이 담당하며,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동맥을 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혈액
Contents 1. 혈액 성분 혈액은 액체 성분[혈장]과 세포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성분에는 수분뿐만 아니라 단백질도 들어 있는데, 그 중 약 60%가 알부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흡
Contents 1. 호흡 호흡이란,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들숨, 내뱉는 것을 날숨이라고 표현한다. 호흡은 세포가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여과
Contents 1. 토리 1) 토리에서의 여과 토리의 벽은 안쪽부터 모세 혈관 내피 세포, 바닥막, 발 세포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세 혈관 내피 세포는 지름 50 ~ 100nm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투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배설
Contents 1. 콩팥의 기능 인간은 배뇨를 통해 혈액 속 불필요한 물질과 유해 물질을 끊임없이 몸 밖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콩팥이다.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분해 물질과 유독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대사
Contents 1. 탄수화물 대사 대사는 초가 타는 현상과 매우 흡사하다. 초가 탈 때 초의 탄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화학 변화를 일으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불이 붙어 열에너지가 나온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영양소
Contents 1. 소개 1) 5대 영양소 (1) 탄수화물 혈중 글루코스(혈당)는 각 세포로 유입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아미노산, 지질의 합성에 쓰인다. 간과 근육에 글리코젠의 형태로 저장된다. 탄수화물은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세포
Contents 1. 소개 사람의 몸은 세포라는 인체의 최소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에는 유전 정보가 들어 있는 DNA가 있으며 세포막이라는 막에는 다양한 작용을 하는 기관이 들어있다. 이것을 세포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생리학
Contents 1. 소개 생리학(physiology)은 몸이 세포로부터 조직, 조직으로부터 기관, 기관으로부터 기관계에 걸쳐 어떻게 작용하는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
lab-map-brai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