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전체 글126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신경전달물질 1 1. 신경전달물질 1) 설명 일반 사람의 뇌는 규칙적인 화학적 반응들이 집합을 필요로 한다. 앞에서 보았듯이 뇌의 가장 중요한 화학 반응들 중 어느 정도는 시냅스 전달에 연관되어 있다. 신경전달물질계는 신경전달물질들로 시작한다. 우리는 주요 신경전달물질의 종류 "아미노산, 아민, 타이드"를 기억해둬야 한다. 알려진 신경전달물질들의 부분적인 목록을 보더라도 거기에는 20개 이상의 분자들이 있다. 이런 각각 분자들은 하나의 특정 전달물질 체계로 정의될 수 있다. 분자들뿐만 아니라 신경전달물질계에는 전달물질 합성, 소포의 포장, 재흡수 그리고 분해에 관련된 모든 분자적 장치와 전달물질의 작용을 포함하고 있다. 1920년대 오토 뢰비에 의해 신경전달물질로 처음 밝혀진 분자는 아세틸콜린(ACh)이다. 아세틸콜린을.. 2022. 10. 31.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축삭 및 수상돌기 다. 축삭 1) 설명 축삭은 신경계에서 멀리까지 정보를 전달하도록 매우 특수화된 구조이다. 축삭은 축삭 둔덕(축삭소구, axon hillock)이라고 불리는 부위에서 시작되는데 이는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모양이다. 축삭이 소마와 구별되는 2가지 특징이 있다. 첫 번째, 축삭에는 조면소포체가 없으며, 자유 리보좀은 약간만 있다. 두 번째, 축삭과 소마의 세포막 단백질의 조성이 기본적으로 다르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로 인해 기능의 차이가 발생한다. 축삭에는 리보좀이 없으므로 단백질 합성도 없다. 이는 축삭의 모든 단백질이 소마에서 유래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축삭 세포막의 차별화된 단백질들이 먼 곳까지 신호를 전달하는 전선 역할을 한다. 축삭의 길이는 밀리미터에서 미터까지 다양하다. 축삭은 빈번하게 가지를.. 2022. 10. 31.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시냅스 2 Contents 2) 시냅스의 종류 2_화학적 시냅스 화학적 시냅스(Chemical synapse)의 시냅스전, 후 막은 20 ~ 50nm 정도의 시냅스 틈(synaptic cleft)으로 분리되어 있는데, 이것은 갭이음의 10개가 되는 너비이다. 이 틈은 섬유성 세포 외 단백질이 포함된 매트릭스로 채워져 있다. 이 매트릭스의 작용 중 하나는 시냅스전, 후 뉴런이 서로 부착될 수 있게 '풀(glue)'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시냅스의 시냅스전 부위는 시냅스전 요소(presynaptic element)라고 불리며, 보통 축삭 말단 부위인데 직경 50nm 정도되는 수십 개의 작은 시냅스 소포(시냅스 소낭, synaptic vesicles)들을 포함한다. 시냅스 소포들은 시냅스후 뉴런과 통신하는 데 쓰이는 신경.. 2022. 10. 31.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시냅스 1 Contents 1. 시냅스 시냅스는 다른 뉴런이나 세포와 접촉하고 통신하는 뉴런의 특화된 접합점이다. 정보는 뉴런에서 표적 세포로 일반적으로 한 방향으로 흐른다. 시냅스로 연결된 첫 번쨰 뉴런은 시냅스전(pre-synaptic)이라고 불리며, 표적세포는 시냅스후(post-synaptic)라고 불린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통상적으로 정보의 흐름은 '전'에서 '후'방향이다. 시냅스전 쪽은 일반적으로 축삭 말단으로 구성되는 반면, 시냅스후 쪽은 수상돌기, 소마, 또는 다른 뉴런이 된다. 전후 시냅스 막 사이의 공간은 시냅스 틈(synaptic cleft)이라고 한다. 대부분의 시냅스에서, 축삭을 따라 온 전지 임펄스 형태의 정보는 말단에서 화학신호를 바뀌어 시냅스 틈을 가로지른다. 시냅스 후 막에서 화학.. 2022. 10. 31.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뉴런2 Contents (2) 조면소포체 뉴런은 단백질을 합성함으로써 유전자에 있는 정보를 이용한다. 단백질은 세포질에 존재하는 리보좀(ribosome)에서 합성된다. RNA 전사체가 리보좀(ribosome)에 결합하면, 리보좀이 mRNA의 정보를 해석하여 단백질을 합성한다. 즉, 리보좀은 아미노산을 재료로 이용하여 mRNA에 내장된 청사진으로부터 단백질을 합성하게 된다. 뉴런에는 많은 수의 리보좀이 조면소포체(rough endoplasmic reticulum, rough ER)라고 부리는 막으로 쌓인 구조에 붙어 있다. 조면소포체는 교세포나 다른 비신경세포에 비하여 뉴런에 많다. 사실, 조면소포체는 니슬체로 이미 소개한 바 있다. 이 소기관이 바로 니슬이 100년 전에 소개한 염료로 염색되는 소기관이다. 조면.. 2022. 10. 31. 신경과학에 관한 주제: 뉴런1 Contents 1. 뉴런(신경세포) 뉴런 또는 신경세포는 신경계를 구성하는 세포이다. 신경세포는 나트륨 통로, 칼륨 통로 등의 이온 통로를 발현하여 다른 세포와는 달리 전기적인 방법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다른 신경세포와는 시냅스라는 구조를 통해 (화학적)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다양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인간의 두뇌에는 대뇌피질에만 약 100억개의 신경세포가 존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신경계에는 뉴런보다 많은 숫자의 신경 아교 세포가 존재한다. 1) 세포체 세포체는 신경세포의 중심이 되는 부분으로 세포의 핵과 세포소기관들이 있다. 크게 신경원섬유와 니슬소체를 포함한다. 신경원섬유는 세포체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니슬 소체는 과립 형태의 RNA로 단백질.. 2022. 10. 31. 이전 1 ··· 8 9 10 1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