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지식/생리학

생리학에 관한 주제: 배설

by BROGYU 2023. 6. 21.
728x90

Contents

     

    1. 콩팥의 기능

    인간은 배뇨를 통해 혈액 속 불필요한 물질과 유해 물질을 끊임없이 몸 밖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콩팥이다.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분해 물질과 유독 물질이 혈액을 통해 콩팥으로 운반되면 콩팥에서 여과, 재흡수, 분비 등 세 단계를 거쳐 소변이 되어 배설된다.

     

    여과는 토리에서, 재흡수와 분비는 세뇨관에서 이루어진다. 콩팥은 몸에 불필요한 성분을 소변의 형태로 배출할 뿐 아니라 몸속의 수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해 준다.

     

    수분을 섭취하지 않으면 소변의 배설 횟수가 줄어드는데, 콩팥이 수분량을 조절하기 때문이다. 그 밖에 혈액 속 염분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뿐만 아니라 특수한 효소를 분비하여 혈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도 한다. 콩팥에서 만들어진 효소 중 대표적인 것이 레닌이다.

     

     

    2. 콩팥의 구조

    콩팥은 커다란 누에콩 모양의 세로 길이가 약 10cm, 폭이 약 6cm인 장기로, 척추의 좌우로 두 개가 있다.

     

    분당 800 ~ 1,000ml의 혈액이 콩팥 통맥을 타고 들어가 콩팥 정맥으로 흘러 나간다. 이것은 심장에서 방출되는 혈액의 약 20%에 상당하다. 콩팥 조직은 피막에 싸여 있으며 표면에서 가까운 겉질과 안쪽의 속질로 구분된다.

     

    콩팥에서 만들어진 소변은 제일 안쪽의 콩팥 깔때기로 배출되어 요관에서 방광을 거쳐 몸 밖으로 나간다. 

     

     

    3. 배뇨의 과정

    소변은 콩팥잔, 콩팥 깔대기, 요관, 방광, 요도를 거쳐 몸 밖으로 배출된다.

     

    콩팥잔에서 요관까지 상부 요로, 방광에서 요도를 하부 요로라고 한다. 콩팥에서 흘러나온 소변은 콩팥잔에서 콩팥 깔때기를 지나 요관으로 들어간다. 요관은 방광 뒤쪽으로 비스듬하게 등 쪽을 따라 뻗어 있으며 성인을 기준으로 길이는 약 28 ~ 30cm, 내강의 지름은 약 4 ~ 7mm다.

     

    소변은 요관에서 방광으로 들어가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콩팥 깔때기에서 요관, 방광으로 소변이 이동하는데, 이는 요관의 꿈틀 운동이 주기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이다. 방관은 소변이 차면 주머니 모양으로 부풀어 원래 1cm 정도인 방광벽이 늘어나 3mm 수준까지 얇아진다. 방광의 허용량은 보통 500ml 정도이며, 최고 약 800ml까지 저장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1) 배뇨의 메커니즘

    방광에서 소변이 250ml 정도 차면 방광 내벽 속의 말초 신경이 자극을 받아 지각 신경과 척수를 지나 대뇌에서 배뇨 지령이 내려진다. 이것을 배뇨 반사라고 하며, 이 반사가 일어나면 의지와 상관없이 작용하는 속요도 조임근이 자연히 풀린다. 방광에는 의지에 의해 조절할 수 있는 바깥 요도 조임근도 있어서 요의를 느껴도 어느 정도는 참을 수 있다. 바깥 요도 조임근을 풀어주면 비로소 소변이 몸 밖으로 배출된다. 

     

    2) 소변을 만드는 3단계 과정

    (1) 여과 ▶ 토리

    혈액 속에서 불필요한 물질을 제거하는데 그 역할을 토리가 한다. 토리는 스스로 필터가 되어 불필요한 물질을 혈관 밖으로 걸러낸다. 토리에서 나온 액을 원뇨라고 부른다.

     

    (2) 재흡수 ▶ 세뇨관

    원뇨는 세뇨관으로 흘러간다. 원뇨가 모두 불필요한 물질은 아니며, 영양소와 수분 등 몸에 필요한 물질도 섞여 있다. 이 필요한 물질을 혈관으로 재흡수 시키는 것이 바로 세뇨관의 역할이다.

     

    (3) 분비 ▶ 세뇨관

    토리에서 여과되지 못하고 혈액에 녹아 있는 불필요한 물질을 세뇨관에서 분비하여, 소변의 형태로 몸 밖으로 배출한다.

     

     

    4.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생리학에 관한 주제: 근육

    Contents 1. 근육의 종류 인간의 몸은 다양한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근, 민무늬근 등 세 종류로 구분된다. 보통 근육이라고 하면 팔다리의 근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르몬

    Contents 1. 호르몬 호르몬은 몸속에 분비되어 몸속의 상황에 따라 각 기관의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예로, 에스트로겐은 대표적인 여성 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순환

    Contents 1. 순환 인체는 심장에서 산소와 영양소가 가득한 혈액이 나와 온몸 구석구석으로 운반한다.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은 주먹만 한 크기의 심장이 담당하며,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동맥을 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혈액

    Contents 1. 혈액 성분 혈액은 액체 성분[혈장]과 세포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성분에는 수분뿐만 아니라 단백질도 들어 있는데, 그 중 약 60%가 알부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흡

    Contents 1. 호흡 호흡이란,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들숨, 내뱉는 것을 날숨이라고 표현한다. 호흡은 세포가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여과

    Contents 1. 토리 1) 토리에서의 여과 토리의 벽은 안쪽부터 모세 혈관 내피 세포, 바닥막, 발 세포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세 혈관 내피 세포는 지름 50 ~ 100nm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투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배설

    Contents 1. 콩팥의 기능 인간은 배뇨를 통해 혈액 속 불필요한 물질과 유해 물질을 끊임없이 몸 밖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콩팥이다.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분해 물질과 유독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대사

    Contents 1. 탄수화물 대사 대사는 초가 타는 현상과 매우 흡사하다. 초가 탈 때 초의 탄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화학 변화를 일으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불이 붙어 열에너지가 나온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영양소

    Contents 1. 소개 1) 5대 영양소 (1) 탄수화물 혈중 글루코스(혈당)는 각 세포로 유입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아미노산, 지질의 합성에 쓰인다. 간과 근육에 글리코젠의 형태로 저장된다. 탄수화물은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유전자

    Contents 1. 소개 유전자는 단백질의 설계도이다. 흔히, '유전'이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세포 안에는 핵이 있고, 그 속의 염색체에는 DNA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세포

    Contents 1. 소개 사람의 몸은 세포라는 인체의 최소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에는 유전 정보가 들어 있는 DNA가 있으며 세포막이라는 막에는 다양한 작용을 하는 기관이 들어있다. 이것을 세포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생리학

    Contents 1. 소개 생리학(physiology)은 몸이 세포로부터 조직, 조직으로부터 기관, 기관으로부터 기관계에 걸쳐 어떻게 작용하는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

    lab-map-brain.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