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소개

사람의 몸은 세포라는 인체의 최소 단위로 이루어져 있다.
세포에는 유전 정보가 들어 있는 DNA가 있으며 세포막이라는 막에는 다양한 작용을 하는 기관이 들어있다. 이것을 세포 내 소기관이라고 한다. 세포 내 소기관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골지 기관,소포체 등이 있다. 세포 내 소기관 이외의 부분은 세포질이라는 체액으로 채워져 있다.
1) 구성
미토콘드리아 | 세포에 필요한 에너지를 만든다. |
라이소솜 | 소화 효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불필요한 물질의 분해를 담당 |
라이보솜 | 아미노산을 재료로 단백질을 만든다. |
골지기관 | 라이보솜이 만든 단백질을 저장 |
세포질 | 세포 소기관을 채우고 있는 액체 |
세포막 | 세포질을 감싸고 있으며 세포 안팎을 구분해주는 막 |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 안팎에서 물질 수송이 이루어진다. | |
소포체 | 단백질을 합성하여 골지 기관으로 운밥 |
핵 | 핵막을 통과하여 세포질과 연락함. |
핵막 및 핵소체 |
2. 세포막(원형질막)
1) 기능
세포는 세포막에 싸여 있는데, 세포막은 세포를 보호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세포가 활동하기 위해서는 에너지나 세포를 만들 재료(물질)가 필요한데, 이때 필요한 물질ㅇ르 세포 밖에서 받아들이고 불필요한 것은 세포 밖으로 내보내야 한다. 그 작용을 하는 것이 바로 세포막이다.
세포막은 단순히 세포의 안쪽(세포 내액)과 바깥쪽(세포 외액)을 벽과 같이 나누는 것이 아니라, 세포막을 통해 필요한 영양소를 받아들이고, 불필요한 물질을 밖으로 내보내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2) 구조
세포막은 물에 녹지 않는 지질로 이루어져 있다.
그래서 지용성 물질은 세포막을 통해 세포 안으로 들어가는데, 수용성 물질은 그 상태로는 세포막을 통과할 수 없다. 이것은 물과 기름이 섞이지 않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수용성 물질은 각기 전용 통로와 장치가 있어서 그것을 통해야 비로소 세포막을 통과해 세포 안으로 들어갈 수 있게 된다.
세포막은 지질 이중막이라는 특징적인 구조를 띠고 있다. 인지질이라는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이 두 겹을 이루고 있어서 그렇게 불린다. 세포막을 구성하는 인지질은 친수성인 머리와 소수성이 꼬리 부분을 가지고 있다. 소수성인 꼬리 부분을 안쪽, 친수성인 머리 부부능 바깥쪽으로 하여 인지질이 두 겹의 막을 이루고 있어 세포막을 물에 녹지 않는다.
인지질 이중막 | 인지질이 두 겹의 막을 이루고 있다. |
지용성 물질은 통과하지만 수용성 물질은 통과하지 못한다. | |
당사슬 | 세포 표면에 돌출되어 있으며 세포끼리의 인식 표식 |
막 수송 단백질 | 수용성 물질을 등을 거두어들이기 위해 단백질에서 펌프 기능 |
3) 시스템
지용성 세포막은 지용성 물질을 통과시킬 수 있지만 수용성 물질은 통과시키지 못한다. 이처럼 세포막에는 통과시킬 수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이 있는데, 그것에 따라 세포 안팎의 물질 농도 등을 조절한다. 농도를 조절하는 수송 시스템에는 수동 수송과 능동 수송이 있다.
(1) 수동 수송
세포 안팎의 농도 차를 이용해 물질을 짙은 농도에서 옅은 농도로 이동시키는 것인데 이를 확산이라고 한다. 이것은 물질에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이동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컵에 물을 넣고 잉크를 떨어뜨리면 휘저으면서 섞지 않아도 잉크는 점차 퍼져서 최종적으로 컵의 물 색깔이 균등해진다. 이를 농도 기울기라고 부른다.
(2) 능동 수송
농도 기울기를 거스르는 방향으로 물질을 이동시키는 원리이다. 이를 위해서는 에너지가 필요한데, 보통 ATP를 사용해 에너지를 얻는다. 수용성 물질은 세포막을 통과하지 못하는데 이러한 물질을 받아들이기 위해 세포막 표면에는 단백질이 있다. 이 단백질을 펌프라고 하는데, 농도 기울기에 역행하여 물질을 능동 수송한다. 대표적으로, [소듐-포타슘 펌프]이다.
3.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생리학에 관한 주제: 근육
Contents 1. 근육의 종류 인간의 몸은 다양한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다. 근육은 크게 골격근, 심근, 민무늬근 등 세 종류로 구분된다. 보통 근육이라고 하면 팔다리의 근육을 떠올리게 되는데, 이것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르몬
Contents 1. 호르몬 호르몬은 몸속에 분비되어 몸속의 상황에 따라 각 기관의 작용을 조절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예로, 에스트로겐은 대표적인 여성 호르몬으로 여성의 2차 성징 발현을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순환
Contents 1. 순환 인체는 심장에서 산소와 영양소가 가득한 혈액이 나와 온몸 구석구석으로 운반한다. 혈액을 내보내는 역할은 주먹만 한 크기의 심장이 담당하며, 심장의 펌프 작용으로 동맥을 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혈액
Contents 1. 혈액 성분 혈액은 액체 성분[혈장]과 세포 성분[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액체 성분에는 수분뿐만 아니라 단백질도 들어 있는데, 그 중 약 60%가 알부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호흡
Contents 1. 호흡 호흡이란, 숨을 들이마시고 내뱉는 과정을 이야기한다. 숨을 들이마시는 것을 들숨, 내뱉는 것을 날숨이라고 표현한다. 호흡은 세포가 에너지를 방출하기 위해 필요한 산소를 공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여과
Contents 1. 토리 1) 토리에서의 여과 토리의 벽은 안쪽부터 모세 혈관 내피 세포, 바닥막, 발 세포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모세 혈관 내피 세포는 지름 50 ~ 100nm의 작은 구멍이 많이 뚫려 있어서 투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배설
Contents 1. 콩팥의 기능 인간은 배뇨를 통해 혈액 속 불필요한 물질과 유해 물질을 끊임없이 몸 밖으로 배출한다. 이 작용을 담당하는 것이 바로 콩팥이다. 대사 과정에서 생성된 분해 물질과 유독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대사
Contents 1. 탄수화물 대사 대사는 초가 타는 현상과 매우 흡사하다. 초가 탈 때 초의 탄소와 공기 중의 산소가 화학 변화를 일으켜 이산화탄소가 생성된다. 이 과정에서 불이 붙어 열에너지가 나온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영양소
Contents 1. 소개 1) 5대 영양소 (1) 탄수화물 혈중 글루코스(혈당)는 각 세포로 유입되어 에너지를 공급한다. 아미노산, 지질의 합성에 쓰인다. 간과 근육에 글리코젠의 형태로 저장된다. 탄수화물은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유전자
Contents 1. 소개 유전자는 단백질의 설계도이다. 흔히, '유전'이라는 말을 쓰는데 이것은 부모로부터 자녀에게 물려주는 것이라는 의미로 쓰인다. 세포 안에는 핵이 있고, 그 속의 염색체에는 DNA라
lab-map-brain.tistory.com
생리학에 관한 주제: 생리학
Contents 1. 소개 생리학(physiology)은 몸이 세포로부터 조직, 조직으로부터 기관, 기관으로부터 기관계에 걸쳐 어떻게 작용하는지, 생명체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필수적인 활동을 어떻게 수행하는
lab-map-brain.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