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들어가며
미국의 성공한 CEO 125명을 조사한 결과, 유산소 운동을 두뇌 발달을 위해 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 됐습니다:)
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BDNF[뇌유래신경영양인자]라는 단백질이 방출되는데, BDNF가 우리 뇌의 신경 성장, 시냅스 가소성 및 뉴런 간 연결성 강화를 만들어 두뇌 발달을 촉진시키는 것입니다.
저 또한, 이전까지는 다이어트를 목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했지만, 이 사실을 알게 된 이후 매일 더 똑똑한 두뇌를 위해 유산소 운동을 즐겁게 하고 있는데요. 만약, 유산소 운동이 어떻게 우리의 뇌를 똑똑하게 만드는지 궁금하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
구체적으로 BDNF 소개, 유산소 운동과 BDNF의 생성 관계, 유산소 운동과 해마 간 관계, 결론 순으로 내용을 도출했으니 삶에 유용한 방향으로 활용하셨으면 좋겠습니다 :)
2. 소개
1) BDNF(뇌유래신경영양인자)란?
BDNF(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는 뇌의 뉴런 성장, 생존 및 기능을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뇌가 환경 자극에 적응하고, 경험에서 배우고, 신경 회로를 재구성하여 뇌 기능을 최적화시키는 것이 바로 BDNF의 기능입니다. 우리는 BDNF를 통해 변화하는 상황에 대응하고, 적절한 인지 능력을 유지하는 유연성을 얻게 됩니다.
현재 뇌신경학에서는 최적의 BDNF 수준을 유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 내리며, 직접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BDNF가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 신경성장: BDNF는 뉴런 사이의 신호를 전달하는 축색돌기와 다른 뉴런 간의 수상돌기 형성을 지원합니다. 즉, 연결성을 강화합니다.
- 시냅스 가소성: BDNF는 신경성장을 통해 시냅스 가소성에 기여합니다. 시냅스 가소성은 학습, 기억 형성 및 새로운 경험에 적응하는 뇌의 기초 능력입니다.
- 새로운 연결 강화: BDNF는 연결되지 않은 뉴런 간의 연결성을 촉진시켜 신경 회로를 재구성합니다.
요점: BDNF가 우리의 뇌에 주는 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억력 향상 |
학습 능력 향상 |
집중력 향상 |
인지 기능 향상 |
스트레스 감소 |
우울증 감소 |
2) 유산소 운동이 BDNF를 활성화시키는 3가지 요인
유산소 운동이 BDNF를 활성화시키는 3가지 요인을 다음과 같습니다.
- 혈류량 증가: 유산소 운동을 통해 펌핑된 혈액이 뇌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여 BDNF 생산을 위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 분자 경로의 활성화: 키나아제(AMPK)와 사이클릭 아데노신 모노포스페이트(c-AMP)는 BDNF 합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포 에너지 조절 및 유전자 발현에 관여하여 유산소 운동 중 BDNF 생성에 기여합니다.
- 신경 전달 물질 자극: 유산소 운동 중 방출되는 신경 전달 물질[노르에피네프린, 도파민, 세로토닌 등]이 BDNF 생성에 관여하는 것이 확인 됐습니다.
3) 유산소 운동과 해마 간 관계
해마는 기억과 학습 과정을 담당하는 변연계 기관으로 우리의 단기 기억을 담당합니다.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해마의 구조와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됐습니다.
- 해마 용적 증가: 규칙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하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해마 부피가 약 23% 더 큰 것으로 확인 됐습니다. 이는 해마에 새로운 뉴런 생성을 더욱 촉진시키고, 더 많은 단기 기억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 해마 신경가소성 향상: 신경가소성은 경험과 환경에 반응하는 뇌의 능력을 이야기하며, 규칙적인 유산소 운동이 만들어낸 BDNF가 해마의 신경가소성을 향상 시킵니다.
- 기억 및 학습 능력 제고:
3. 결론
[유산소 운동]은 BDNF의 생성 및 방출을 돕고, 해마와의 연결성을 강화하여 건강한 뇌 발달을 촉진시킵니다.
유산소 운동이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뇌신경학적 측면에서 알아봤습니다.
대부분 유산소 운동이 신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정보는 알고 계시지만, 두뇌 발달에 어떤 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는 생소하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이제는 유산소 운동이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아신만큼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야 하는 이유가 하나 더 생겼으니 모두 건강한 신체와 두뇌를 위해 유산소 운동을 꾸준히 해보시는 건 어떨까요?
감사합니다 :)
4.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웨이트 트레이닝 빠르게 하기 VS 느리게 하기[비교분석]
Contents 1. 들어가며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빠르게 하면 좋을지, 느리게 하면 좋을지 고민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런 고민을 해보셨다면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열정과 고민이 많은 분들이
lab-map-brain.tistory.com
웨이트 트레이닝에서 고립 및 복합 운동을 꼭 같이 해야 하는 이유[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웨이트 트레이닝은 목적에 따라 근지구력, 근력, 근비대 운동으로 나뉜다고 말씀드렸습니다.[이전글 참조] 그런데, '이것'만큼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데요, 그건 바로 '고
lab-map-brain.tistory.com
근비대 운동은 '이것'이 중요하다는 사실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2019년도, 대전의 H 헬스장의 일반 회원 헬스장 평균 출석률(%)에 대한 자료를 확인해 본 결과, 1년 기준 27%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지표를 확인해보면, 1월 ~ 3월 초까지의 출석이
lab-map-brain.tistory.com
근력 운동은 '이것'이 중요하다는 사실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보디빌더와 파워리프터는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다른 목적성을 띠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두 선수 모두 강화된 신체를 보유하고 있지만, 보디빌더는 근섬유의
lab-map-brain.tistory.com
근지구력운동 VS 근력운동 VS 근비대운동[완벽비교]
Contents 1. 들어가며 우리가 운동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한 신체를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허나, 이를 3가지의 유형으로 나눠보면 [근지구력 운동, 근력 운동, 근비대 운
lab-map-brain.tistory.com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꼭 해야 하는 이유[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병행 문제는 수많은 헬스인들의 고민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유는 유산소 운동이 근성장을 저해시킨다는 확실한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lab-map-brain.tistory.com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를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문제: 달리기는 유산소 운동일까? 무산소 운동일까? [정답은 결론에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 주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퍼스널 트레이너를 준비하면서 기준
lab-map-brain.tistory.com
유산소 운동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산소 운동(有氧運動, 영어: aerobic exercise 또는 cardio)은 운동시 발생하는 에너지 소비가 적절하고 충분한 산소의 공급을 조건으로 시행되는 신체의 지속적인
ko.wikipedia.org
해마체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해마체(海馬綵, fimbria hippocampi)에 대해서는 해마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해마체(海馬體)는 해마(海馬, 영어: hippocampus)라고도 불리며 대뇌변연계의 양 쪽 측두
ko.wikipedia.org
뇌유래신경영양인자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DNF식별자다른 이름BDN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ANON2, BULN2,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외부 IDOMIM: 113505 MGI: 88145 HomoloGene: 7245 GeneCards: B
ko.wikipedia.org
5. 추천 도서: 운동화 신은 뇌
운동화 신은 뇌 - YES24
KBS `생로병사의 비밀`이 300회 특집으로 다룬 화제의 책. 운동을 하면 몸이 튼튼해지고 기분이 좋아진다는 정도는 잘 알고 있지만, 구체적인 효과들에 대해서는 정보가 부족하다. 몸이 건강할수
www.yes24.com
운동화 신은 뇌
KBS 생로병사의 비밀 300회 특집에 방송된, 운동과 뇌기능의 관계를 심도 있게 연구한 책. 지은이 하버드대 정신과 교수 존 레이티는 다양한 실험 사례와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운동과 뇌의 놀
www.aladin.co.kr
운동화 신은 뇌 | 존 레이티 - 교보문고
운동화 신은 뇌 | 운동이 최고의 우울증 약이다? 뇌 건강에 운동이 미치는 놀라운 영향!운동으로 지키는 뇌 건강 지침서 『운동화 신은 뇌』. 운동이 우리의 생각과 감정에 어떤 영양을 끼치는지
product.kyobobook.co.kr
본 포스팅은 제3자로부터 간접 광고, 금전 후원, 보증 광고와 같은 유료 프로모션을 제공 받지 않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