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1. 들어가며
우리가 운동을 하는 궁극적인 목적은 '건강한 신체를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거 같습니다.
허나, 이를 3가지의 유형으로 나눠보면 [근지구력 운동, 근력 운동, 근비대 운동]으로 분류가 됩니다.
이것이 중요한 이유는 목적에 따라 '횟수, 무게, 휴식시간' 등이 달라지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체형이 달라진다는 것입니다.
아래의 예시를 통해 설명을 드리면,
예시 1) 근지구력, 근력, 근비대 운동에 따른 체형 비교
예시 2) 근지구력, 근력, 근비대 운동에 따른 근원섬유의 구성 형태
보충설명 1) 속근 섬유와 지근 섬유
Type | 속근[백근] | 지근[적근] |
근수축 | 빠름 | 느림 |
피로 | 약함 | 강함 |
적합 운동 | 근력, 근비대 운동 | 근지구력 운동 |
1) 근지구력 운동: 지근[적근]을 주로 사용하여 조금 더 오래 운동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운동입니다.
2) 근력 운동: 속근[백근]을 주로 사용하여 근원섬유의 밀도를 높이는 운동입니다.
3) 근비대 운동: 속근[백근]을 주로 사용하며 근섬유의 면적을 넓히는 운동입니다.
제가 처음 운동을 시작 했을 때, 이런 사실을 모르고 운동을 시작해 1년 정도 몸의 변화가 거의 없었습니다. 목적성에 따라 '횟수, 휴식시간, 무게'의 중요성을 말해주는 사람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허나, 3년 정도 운동을 하면서 다음과 같은 사실을 공부해 보고 정립해 본 결과, 156일 만에 제가 원하는 몸을 만든 경험이 있습니다.
만약, 운동을 하고 계시거나, 할 예정이신 분들이 있으시다면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는 것만으로도 3년의 시간이 절약될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3가지 유형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 비교해보는 방향으로 진행하며, 각 운동별 원리에 대해 자세한 글은 함께 읽으면 좋은 글에 첨부해뒀습니다.
2. 운동 비교
구분 | 근지구력 | 근력 | 근비대 |
세트당 횟수 | 15 ~ 25회 | 1 ~ 6회 | 8 ~ 12회 |
세트당 휴식시간 | 20 ~ 30초 | 180초 ~ 300초 | 60초 ~ 90초 |
무게 | 1RM의 60 ~ 70% | 1RM의 85 ~ 95% | 1RM의 70 ~ 80% |
TUT 시간 | 60 ~ 90초 | 1 ~ 30초 | 30 ~ 60초 |
1RM이란? | 1회 수행할 수 있는 최대 무게 |
[참고자료]
▶ 피지컬갤러리 - 근육 성장에 가장 좋은 쉬는 시간!?(운동시 쉬는 시간)
▶ 세계적으로 유명한 운동 정보 - 근비대를 최대화하는 세트 사이 휴식 시간(근성장 메커니즘)
3. 결론
운동 별 '횟수, 휴식시간, 무게'를 다르게 해야 하는 이유는 [근섬유의 단면, 근원섬유의 밀도, 속근과 지근의 참여도]에 맞는 운동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해당 글에서는 근지구력 VS 근력 VS 근비대 운동에 따라 운동 방법의 구분에 대해 다뤄봤습니다.
전체적으로 비교를 위해 작성된 글이기에 세부적으로 어떻게 다르며, 어떤 원리로 인해 시간이 분배되는지에 대한 부분은 [함께 읽으면 좋은 글]을 참조해주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4.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웨이트 트레이닝 빠르게 하기 VS 느리게 하기[비교분석]
Contents 1. 들어가며 웨이트 트레이닝을 할 때 빠르게 하면 좋을지, 느리게 하면 좋을지 고민해 보신 적 있으신가요? 이런 고민을 해보셨다면 웨이트 트레이닝에 대한 열정과 고민이 많은 분들이
lab-map-brain.tistory.com
웨이트 트레이닝에서 고립 및 복합 운동을 꼭 같이 해야 하는 이유[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웨이트 트레이닝은 목적에 따라 근지구력, 근력, 근비대 운동으로 나뉜다고 말씀드렸습니다.[이전글 참조] 그런데, '이것'만큼은 모두 동일하게 적용되는데요, 그건 바로 '고
lab-map-brain.tistory.com
유산소 운동과 무산소 운동의 차이를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문제: 달리기는 유산소 운동일까? 무산소 운동일까? [정답은 결론에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헷갈리시는 주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퍼스널 트레이너를 준비하면서 기준
lab-map-brain.tistory.com
무산소 운동 후, '유산소 운동'을 꼭 해야 하는 이유[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무산소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병행 문제는 수많은 헬스인들의 고민이 아닐까 싶습니다. 이유는 유산소 운동이 근성장을 저해시킨다는 확실한 연구 결과가 있기 때문입니다.
lab-map-brain.tistory.com
유산소 운동이 '똑똑한 뇌'를 만든다는 사실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미국의 성공한 CEO 125명을 조사한 결과, 유산소 운동을 두뇌 발달을 위해 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 됐습니다:) 유산소 운동을 하게 되면 BDNF[뇌유래신경영양인자]라는 단백질이
lab-map-brain.tistory.com
근비대 운동은 '이것'이 중요하다는 사실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2019년도, 대전의 H 헬스장의 일반 회원 헬스장 평균 출석률(%)에 대한 자료를 확인해 본 결과, 1년 기준 27% 수준이었다고 합니다. 지표를 확인해보면, 1월 ~ 3월 초까지의 출석이
lab-map-brain.tistory.com
근력 운동은 '이것'이 중요하다는 사실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보디빌더와 파워리프터는 비슷해 보이지만, 서로 다른 목적성을 띠고 있습니다. 아래의 사진을 보시면, 두 선수 모두 강화된 신체를 보유하고 있지만, 보디빌더는 근섬유의
lab-map-brain.tistory.com
근지구력 운동은 '이것'이 중요하다는 사실 아시나요?[완벽정리]
Contents 1. 들어가며 근지구력 운동은 40대를 넘어가는 기점부터 전반적인 건강과 체력 유지를 위해 점점 중요해지는 운동입니다. 19년도 인간의 생로병사를 취재하며 근지구력 운동의 중요성이
lab-map-brain.tistory.com
본 포스팅은 제3자로부터 간접 광고, 금전 후원, 보증 광고와 같은 유료 프로모션을 제공 받지 않았습니다.
댓글